공직박람회 방문자 수 역대 최고 기록 달성!
2023 찾아가는 공직박람회 결과
올해 ‘찾아가는 공직박람회’는 전년 대비 1.6배 증가한 2만 1000명의 누적 방문자 수를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이번 박람회는 총 282개의 기관이 참여하여 역대 가장 높은 만족도를 자랑했습니다. 행사 기간 동안 얻은 95.4점의 만족도는 운영진과 참가자 모두의 노력의 결과입니다. 특히, 이번 박람회는 비수도권에서도 진행되어 지역의 균형 발전을 도모했습니다. 인사혁신처는 이번 행사를 통해 공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향후 이러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행사 구성 및 진행
올해 공직박람회는 8월부터 시작하여 32차례의 행사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전국 26개 지역에서 걸쳐 개최된 이번 행사에서는 10개 시·도가 공동 주최하였습니다. 이러한 협업을 통해 공공부문 전반의 채용 정보가 종합적으로 제공되었습니다. 특히, 13년 만에 최초로 8개 시험주관기관이 협의체를 구성하여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 다양한 기관의 협력이 이루어진 만큼, 참가자들은 폭넓은 정보를 한 자리에서 얻을 수 있었습니다.
- 비수도권 지역에서의 행사 진행: 전체 일정의 53.1%가 비수도권에서 진행되었습니다.
- 도서벽지에서의 행사: 백령도와 울릉도에서도 행사가 개최되어 지역 균형과 포용성을 높였습니다.
- 카운슬링과 정보제공: 비대면 플랫폼을 통해 상담과 정보 제공을 활발히 진행했습니다.
참가자 반응 및 효과
참가자들의 반응은 매우 긍정적이었습니다. 행사 만족도가 지난해보다 상승했으며, 공직 이해도 증진에 기여했다고 평가합니다. 서울 권역 행사에 참여한 한 학생은 다양한 기관의 채용 담당자를 쉽게 만날 수 있는 기회에 대해 매우 만족스러워 했습니다. 지방 특성화 고등학교 교장도 학생들에게 많은 정보를 제공하는 공무원들의 노력에 감명을 받았다고 전했습니다. 이처럼, 이번 박람회는 신뢰성을 바탕으로 한 교육적인 가치가 있었습니다.
온라인 소통 창구 운영
가상 플랫폼을 통해 정보 제공도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공직박람회 전용 누리집에서는 비대면 상담과 청년 의견을 수렴하며 행사의 외연을 확장했습니다. 행사 기간 중 누리집의 방문자 수는 총 11만 건에 이르렀습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더욱 다양한 형태의 소통을 경험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이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행사 계획
2024년 행사의 방향성 | 청년들과의 소통을 더욱 강화할 예정 | 전국 각지에서의 보다 많은 참여를 유도할 계획 |
행사 협력 기관 확대 | 공공기관 참여를 늘리고 지역별 맞춤형 정보 제공 | 행사 운영의 유연성 향상 |
인사혁신처는 엄격한 계획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공직박람회를 구현해 나가겠다고 전했습니다. 올해의 성공을 바탕으로 내년에도 더욱 더 많은 청년들이 공직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직 혁신을 실현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청년 지원과 공직 진출
공직의 매력을 알리고 청년의 공직 진출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두었습니다. 이번 박람회를 통해 지역 청년들이 공무원에 대한 신뢰를 쌓을 수 있었습니다. 행사 연결 성과로, 참가자들은 각 기관의 진로 및 취업 정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작용으로 향후 공무원 직업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결론
2023 찾아가는 공직박람회는 청년과 공직 간의 연결점을 찾아가는 소중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공무원과 지역 주민 간의 소통을 통한 신뢰감 증진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연계가 지속되기를 바라며, 향후에도 정부는 청년들의 목소리를 더욱 세심하게 들을 것입니다. 이번 행사가 청년들에게 더 나은 미래를 향한 발판이 되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