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시간제 보육 서비스 개선 방안 발표!
시간제 보육현황 분석
전국 229개 기초자치단체 중 시간제 보육반이 없는 38개 지역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어린이집에 시간제 보육반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제공되지 않는 지역이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육아종합지원센터가 없는 112개 지역 가운데서도 33개 지역은 어린이집에 시간제 보육반이 없어, 돌봄 공백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시급히 필요함을 드러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합니다.
교육부의 시간제 보육 확대 계획
교육부는 시간제 보육 제공기관을 현저히 확장하고 있습니다. 올해 9월 말 현재 전국 2,003개반을 지정하고 운영 중이며, 2,315개반의 목표로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는 어린이집의 정규 보육반의 미충족 정원을 활용하는 ‘통합반’ 본사업에 힘입은 결과입니다. 지난해와 비교하여 2배 이상 증가하며, 시간제 보육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2024년 어린이집 정규 보육반의 미충족 정원을 시간제 보육에 활용하는 통합반 본사업 추진
- 시간제 보육 제공기관이 없는 지자체 현황 파악을 통한 우선 설치 요청
- 운영 활성화를 위한 지자체 간담회 개최 계획
시간제 보육공백 문제 해결 방안
시간제 보육반이 없는 지역의 보육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정부는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우선 2024년에는 300여 개반을 설치할 계획이며, 시군구와 육아종합지원센터를 통해 수요가 많은 지역에 집중적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지역 간담회를 통해 더욱 구체적인 문제 파악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시간제 보육 현황과 기관 지정
2024년 9월 말 기준, 시간제 보육 제공기관의 지정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각 기초자치단체는 보다 구체적인 보육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시간제 보육은 어린이집 이용자들에게 많은 혜택을 제공할 것입니다.
지자체 협력의 중요성
시간제 보육의 성공적인 확대를 위해 지자체의 협조가 필수적입니다. 각 지자체는 지역 내 보육 수요를 면밀히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적극적인 반응이 필요합니다. 향후 간담회를 통해 목표치를 설정하고, 우선 설치해야 할 지역을 구체적으로 지정할 것입니다.
미충족 정원 활용 방안
정규 보육반 미충족 정원 활용 방안 | 시간제 보육 전략 | 예상되는 효과 |
어린이집 정규 보육반의 이용률 제고 | 미충족 정원을 시간제 보육으로 전환 | 어린이집 보육 서비스 증가 |
이러한 방안은 시간제 보육의 활성화를 통해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변화하는 사회적 필요에 맞춰 유연한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결론 및 제언
시간제 보육의 필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정부의 노력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지역에서 돌봄 공백이 존재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따라서 정부와 지자체는 긴밀한 협력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서야 할 것입니다.
추가 정보 및 문의
시간제 보육 관련 추가 정보를 원하시는 분은 교육부 영유아정책국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전화번호는 044-203-7214입니다. 정책과 관련된 궁금한 사항에 대해 친절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