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철도 한체코 협력으로 새 시대 열리다!
고속철도 협력 확대
우리 국토교통부와 체코 교통부 간의 협력은 고속철도 분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번 결정은 양국 간의 기존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하여, 상호 이익을 증진시키고자 하는 양국 정부의 의지를 보여줍니다. 특히, 우크라이나의 재건사업과 관련된 인프라 협력도 활성화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협력은 양국의 철도 기술과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결합해 프로젝트의 성공을 도모하게 될 것입니다. 고속철도 사업은 양국 간 지속적인 기술 교류와 함께 서로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것입니다.
업무협약 체결 배경
지난 20일(현지시간) 박상우 국토부 장관과 마틴 쿱카 체코 교통부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과 페트르 피알라 체코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두 가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고속철도 및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을 위한 것으로, 양국의 강력한 의지와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박 장관은 철도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와 함께 기술 경험 및 노하우 공유를 통해 체코의 철도 사업 추진에 기여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습니다.
- 한국은 2004년 첫 고속철도 개통 이후 20년의 경험을 쌓아왔다.
- 체크 교통부는 한국과의 폭넓은 협력을 희망하고 있다.
- 이번 MOU는 성공적 사업 추진을 위한 체계적 교류 기반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술 협력 및 경험 공유
박상우 장관은 체코와의 협력에서 중요한 요소로 기술 협력과 경험 공유를 언급했습니다. 한국의 고속철도 시스템은 설계와 운영, 유지 보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깊이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합니다. 국토교통부는 체코 정부와 고속철도 관련 정책과 법령, 기술 기준을 교류함으로써 체계적이고 타당한 기술 협력 관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협력은 한국 기업의 체코 시장 진출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관련 협력
국토부는 체코 교통부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대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양국 정부와 민간기업이 참여하는 실무회의를 통해 철도 및 공항 인프라 분야에서 신규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추진할 예정입니다. 체코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깊은 이해와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한국 기업들의 재건 시장 참여에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인프라 협력과 비즈니스 포럼
고속철도 협력 세션 |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세션 | 양국 협력 방안 발표 |
한국철도공사 현황 발표 | 체코 철도시설공사 관심 표현 | 정보 공유 및 협력 방안 논의 |
한-체코 비즈니스 포럼은 이러한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고, 고속철도 및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의 추진 현황에 대해 발표하는 자리가 될 것입니다. 양국의 전문 기관들이 참여함으로써,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실현에 옮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교통 인프라 협력의 미래
향후 양국 간의 교통 인프라 협력은 더욱 원활해질 것입니다. 쿱카 장관은 140여 개의 체코 기업이 우크라이나에 진출했으며, 이로 인해 한국 기업과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양국의 인적 및 물적 교류가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상호 경제적 성장과 기술 개발에 기여할 것입니다.
관광 활성화 방안
양국 장관들은 한국-체코 간의 직항편 확대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최근 항공회담에서는 두 나라 간의 운수권을 주 4회에서 주 7회로 증대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이는 양국 국민 간의 교류를 증진시키고, 관광 활성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참여 기관 및 연락처
국토교통부는 한국과 체코 간의 협력을 위한 다양한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이루어나갈 것입니다. 보다 구체적인 문의사항은 국토교통부 건설정책국 해외건설정책과(044-201-3520), 철도국 철도정책과(044-201-3947)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정책 자료 이용 안내
본 기사에 대한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 가능합니다. 단,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사 이용 시 출처를 필히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정책브리핑 웹사이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