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고의 해양실크로드 역사기행

Last Updated :
장보고의 해양실크로드 역사기행

장보고와 청해진, 해양실크로드의 중심지 완도

전라남도 완도는 푸른 바다와 함께 찬란한 해양문화를 꽃피운 역사적 중심지로 손꼽힙니다. 특히 통일신라 시대 장보고 대사가 개척한 청해진은 한반도를 넘어 동아시아 전역을 아우르던 해상 실크로드의 전진기지였습니다. 완도에 위치한 장보고기념관과 청해진 유적은 그 시기의 역사적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한 공간입니다.

장보고기념관, 해양 강국의 꿈을 만나다

완도군 완도읍 청해진로에 자리한 장보고기념관은 2008년 2월 개관한 복합문화전시 공간으로, 상설전시관, 중앙홀, 특별전시관 등 총 3개의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미디어아트와 실감 콘텐츠를 통해 장보고의 생애와 청해진의 역사, 당시 무역과 조선 기술을 상세히 소개하며, 실제 유물과 복원품, 체험형 전시를 통해 해양 문화의 면면을 생생히 체감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완도 방문의 해를 맞아 올해 12월 31일까지 장보고기념관 입장이 무료로 제공되고 있어 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완도군은 전자 지도, 치유 페스타 등 다양한 이벤트와 함께 지역 내 식당, 카페, 숙박, 특산품 구매 시 쿠폰 지급 등 여행객을 위한 혜택도 마련했습니다.

장보고, 해상무역과 국제교류의 선구자

장보고(780년대 후반~841년 또는 846년 추정)는 통일신라 시대의 장군이자 해상무역을 주도한 인물로, 당나라에 유학하며 군인으로 활약한 뒤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해 국제 해상무역의 중심지로 성장시켰습니다. 그는 해적의 위협으로부터 항로를 지키고 한·중·일 삼국 상인들의 안전을 보장했으며, 청해진 대사로서 신라의 바다를 지배했습니다.

장보고는 무역뿐 아니라 국가 외교에도 큰 영향을 미쳤으나 중앙 권력의 암투 속에서 자객 염장에 의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습니다. 그의 삶과 업적은 장보고기념관 1층 기획전시실에서 영상, 모형, 디오라마 등으로 연대기적으로 전시되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청해진 유적, 해상 방어와 국제 교역의 요새

청해진 유적은 장보고가 군사기지를 설치했던 고금도와 장도 일대에 위치하며, 전략적 지리적 조건으로 해상 방어의 최적지로 평가받습니다. 1970년대 후반부터 발굴된 유적에서는 돌로 쌓은 방어벽, 주거지 터, 도로, 창고 흔적과 함께 군사시설, 화살촉, 기와 조각, 중국 도자기 조각 등이 출토되어 국제 교역과 군사 활동의 중심지였음을 입증합니다.

청해진 유적지에서 바라본 장보고기념관과 상왕산의 풍경은 맑고 푸른 바다와 어우러져 한 폭의 풍경화를 연상케 합니다.

국제적 인물 장보고와 동아시아 교류

장보고는 일본의 고승 엔닌과 당나라 시인 두목과의 교류를 통해 동아시아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엔닌은 장보고의 보호 아래 무사히 귀국했으며, 두목은 장보고를 정의롭고 위대한 해상 지도자로 칭송했습니다. 장보고는 일본, 중국을 넘어 인도와 페르시아까지 무역을 확장하며 문화 교류에도 기여했습니다.

삼성그룹 창업주 호암 이병철 회장도 장보고를 위대한 존재로 칭송하며 그의 업적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체험과 미디어아트로 만나는 장보고

장보고기념관 2층 미디어아트관에서는 3D 영상과 다채로운 미디어아트를 통해 장보고의 업적과 해상 실크로드의 역사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변화무쌍한 연등 미디어아트는 관람객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합니다. 가족 단위 방문객은 신라시대 복식과 갑옷 착용 체험도 가능합니다.

완도의 자연과 문화, 그리고 여행의 즐거움

완도에는 장보고기념관과 청해진 유적 외에도 상왕산 뒤편의 아름다운 동백나무 군락 완도수목원, 은하수와 반딧불이로 유명한 청산도, 완도항 전경을 조망할 수 있는 완도타워 등 다양한 명소가 있습니다. 완도는 역사와 자연, 문화가 어우러진 여행지로 소중한 추억을 만들기에 적합한 곳입니다.

장보고기념관과 청해진 유적 위치

장소주소
장보고기념관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청해진로 1455
청해진 유적지(장도)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장좌리 787
장보고의 해양실크로드 역사기행
장보고의 해양실크로드 역사기행
장보고의 해양실크로드 역사기행 | 전남진 : https://jeonnamzine.com/5057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전남진 © jeonnam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